|
피부관리, 과학적인 접근 시대 올 것
|
[칼럼] 피부관리, 과학적인 접근 시대 올 것
루아르에스테틱 김병미 원장
최지흥 | jh9610434@beautyhankook.com
2월 말, 이른 아침부터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무방부제 멸균 특수케어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문의전화였다. 넥스젠 무… |
|
|
07-02 |
11180 |
|
|
[전문칼럼] 화학방부제와 천연방부제의 이해
|
에스테틱 숍의 전문성을
높인다.
화학방부제와 천연방부제의
이해
화장품 속에 들어 있는 방부제의 위해성 논란이 계속되면서 에스테틱 숍을 고를 때 관리 제품
성분을 체크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 숍에서 사용하는 무방부제나 천연방부제로 만든 화장품을 고객에게 설명할 때 무조건‘ 방부제라서 나쁘다‘’
방부제가 안 들어가서 … |
|
|
05-20 |
10933 |
|
|
[전문칼럼] 단백질의 합성과정 및 종류
|
에스테틱 숍의 전문성을
높인다.
단백질의
합성과정 및 종류
인체를 이루고 있는 물질들 중 수분은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수분은 63%이상, 체지방은 약
22%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인체 구성성분은 모든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이다. 섭취된 탄수화물은 대부분 근육 수축을 비롯한 각종
신체기능의 작동에 필… |
|
|
05-20 |
10849 |
|
|
[전문칼럼] 줄기세포와 화장품
|
에스테틱 숍의 전문성을
높인다.
줄기세포와
화장품
세포란 생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그림1. 세포구조). 인간의 경우, 여자의 자궁에서 여자의 생식세포인 난자와 남자의 생식세포인 정자가 결합(수정)되어 한 개의
수정란(배아) 세포가 만들어진다(그림2. 수정과정). 이 단 한 … |
|
|
05-20 |
10809 |
|
|
2011 미스코리아 선 김혜선의 루아르에스테틱탐방기
|
방송을 잠시 쉬기로 결정한 이후 시간은 나에게 아군도 적군이 아니었다.
‘나태해지지 말자는 각오’가 불현듯 드는 순간에는 하루가 짧았고,
‘오늘은 그냥 잠이나 잘까’라는 생각을 하면 하루는 매우 길게 느껴졌다.
하지만 가끔 거울 속에 비추어지는 내 모습에서 ‘관리해야 겠다’는 생각은
시간이 짧건, 느리건, 어제도, 오늘도 변함이… |
|
|
03-21 |
10517 |
|
|
[전문칼럼] 세포의 에너지 대사①
|
[전문칼럼] 세포의 에너지 대사①
에스테틱 숍의 전문성을 높인다.
세포의 에너지 대사①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스마트폰은 일정 용량의 배터리가 제공하는 에너지의 힘으로 작동된다. 배터리가 다 사용… |
|
|
01-27 |
10454 |
|
|
[전문칼럼] 여드름균의 미생물학적 특성, 여드름①
|
여드름균의 미생물학적 특성, 여드름①
서구 문명사회에서는 10대 청소년 인구의 약 79-95%
정도가 여드름 질환을 가지고 있고, 특히 미국에서는 4,000~5,000만 명 정도가 여드름 환자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10대에 국한하지
않고, 어린이에서 성인에게 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한 연구에서는 25세 이상의 성인 남자 중 40%… |
|
|
05-20 |
10447 |
|
|
"이제는 내가 무방부제 멸균 화장품 홍보대사"
|
"이제는 내가 무방부제 멸균 화장품 홍보대사"
광명피부관리실
루아르에스테틱 김병미 원장
최근 에스테틱 업계에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숍을 운영하는 원장이 직접 특정 회사의 제품을 소개하고 다니고 있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광명시에서
광명피부관리실 루아르에… |
|
|
10-14 |
10408 |
|
|
<뷰티한국 인터뷰> 루아르에스테틱 김병미 원장
|
2000년 의약분업의 여파는 병원과 약국, 제약 업계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에스테틱숍은 병원의 사업 영역 확대로 큰 어려움을 겪은 대표적인 업계 중 하나로 꼽힌다. 의료법에 의해 에스테틱숍에서 의료기기로 등록되어 있는 미용 기기들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과 함께 병원들이 피부관리까지 영역을 확… |
|
|
03-21 |
10336 |
|
|
[전문칼럼] 단백질①
|
단백질 ①
인체를 이루고 있는 물질들 중 수분은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수분은 63%이상,
체지방은 약 22%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인체 구성성분은 모든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이다. 섭취된 탄수화물은 대부분 근육 수축을 비롯한
각종 신체기능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생산을 위해 사용 … |
|
|
05-20 |
10332 |
|
|